오늘(2022.08.30) 11시에 업데이트 되었던 국민 백신 프로그램 알약이
랜섬웨어 탐지 오류가 발생하여 컴퓨터가 먹통이 되는 일이 발생되었다.
컴퓨터 사용자들은 처음엔 본인들 컴퓨터가 랜섬웨어에 감염된줄 알았지만.
알약이 업데이트 되면서 랜섬웨어 차단 알림 기능에 문제가 생긴것으로 알려졌다.
알약 랜섬웨어 탐지 오류 - 랜섬웨어 탐지 오류
오늘 알약 백신이 업데이트 가 되면서 부터 알약의 백신 프로그램의 탐지 오유로
알약을 설치한 컴퓨터 대부분의 PC가 먹통이 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알약의 랜섬웨어 오진으로 인한 문제로 파악되고있다.
컴퓨터 사용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시스템 파일을 알약 프로그램이
랜섬웨어로 오진하면서 멀쩡한 윈도우 시스템 파일을 차단시켜
컴퓨터가 먹통이 되는 현상이 일어난것이다.
알약 랜섬웨어 탐지 오류 - 보안 전문 기업 이스트시큐리티의 '알약'
알약 을 만든 이스트시큐리티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알약 공개용 긴급 수동 조치 방안’을 알려주고있다.
이스트시큐리티는 오늘 사태에 대해
“알약 공개용 제품으로 인해 불편을 끼쳐 깊이 사과드린다”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대부분의 알약 공개용 사용자는 정상 이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스트시큐리티는 해결방안에 대해
“알약 공개용 사용자 중 일부 화면 멈춤 현상이 있는 경우 정상 복구할 수 있다”
“사용자 PC에 전혀 손상을 끼치지 않으며 조치 시 즉시 정상 복구된다”고 말했다.
오늘 발생한 알약의 오류는 랜섬웨어 탐지 기능 고도화 적용 후,
랜섬웨어 탐지 기능 오작동으로 인한 것으로 파악 되었다고 이스트시큐리티는 발표.
컴퓨터의 먹통으로 인해 홈페이지에서 수동 조치툴을 내려받기
어려운 경우에 실행할 수 있는 조치 방안은 다음과 같다.
데스크톱PC나 노트북에서 강제 재부팅을 3번 시도해 윈도우 안전모드에 진입한다.
강제 재부팅은 전원버튼을 5초 이상 누르고 있으면 된다.
안전모두 상태에서 이스트시큐리티 홈페이지에서 수동 조치툴 내려받아 실행하면 된다.
알약 복구 후 재부팅을 마치면 PC와 노트북 등을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알약 랜섬웨어 탐지 오류 - 알약 삭제 방법
만약 이스트시큐리티 의 해결방안도 안된다면 알약을 삭제하면된다.
일반적인 상황이라면 윈도우의 프로그램 추가 제거 에 들어가 삭제하면되지만.
현재 알약이 설치 되어있다면 컴퓨터가 먹통이라 부팅 자체가 안될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안전모드를 이용 해야한다.
안전모드는 컴퓨터 구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필수 프로그램만
작동시키는 윈도우 시스템 메뉴이다.
첫번째
본체 전원 버튼을 5초 이상 길게 눌러서 컴퓨터 전원을 끈다
두번째
컴퓨터 전원 버튼을 다시 눌러 컴퓨터 전원을 켠다.
세번째
Windows가 시작 된 첫번째 신호 (컴퓨터 제조사의 로고 ) 가 뜰때
5초이상 전원 버튼을 길게 눌러서 다시 컴퓨터 전원을 끈다
네번째
전원 버튼을 다시 눌러 컴퓨터 전원을 켠다
다섯번째
windows가 시작되면 다시 전원버튼을 5초동안 눌러 컴퓨터 전원을 끈다
여섯번째
전원 버튼을 다시 눌러 컴퓨터 전원을 켜면 아래와같은 화면이 나온다.
(화면이 안나오면 나올때까지 반복한다)
문제 해결 클릭
고급옵션
시작설정 클릭후 다시 시작 클릭
다시 시작 되면 시작설정 에서 안전모드 사용 을 선택
이렇게 하면 안전모드로 윈도우에 들어갈수 있다.
이제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 제거에 들어가 알약을 삭제 한후 재부팅하면
알약 삭제 완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