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죽아.
나는 얼어 죽어도 아이스 아메리카노.
대한민국처럼 한 겨울에도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마시는 나라가 있을까?
어서 와 한국이지 같은 외국인 프로그램을 보면 외국인들이 추운 겨울에도 아이스음료를 마시는
대한민국 사람들을 이해하지 못하는 광경을 볼수있다.
우리에겐 당연해 보이지만 전 세계적으로 차가운 음료를 마시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은 아니다.
특히 중국사람들은 한여름에도 미지근하기는커녕 뜨거운 물과 음료를 마시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건 중국뿐 아니라 대부분의 아시아 국가가 비슷하다.
왜 이들 나라는 우리나라 보다 무더운 곳에 살면서 찬물을 마시지 않는 것일까?
중국이 찬물을 마시지 않는 이유
중국여행을 가면 식당에서 맥주를 주문하면 맥주를 냉장고에서 꺼내지 않고 창고에서 꺼내 바로 준다.
고급식당을 가야 차가운 맥주를 원하냐고 물어보는 정도이다.
물을 사려고 마트에 가도 대부분의 음료는 상온 보관되어 있다.
냉장고가 바로 옆에 있지만 말이다.
처음 중국을 방문하는 한국 관광객이라면 아마 "나를 무시하는 걸까? "라고 생각할 수 돼있지만
중국사람들이 일부러 그러는 건 아니다
중국인들은 차가운 음료에 대한 거부감이 있고, 또한 자기들이 그렇게 마시니
다른 나라, 외국인들도 당연히 그럴 것이라고 생각할 뿐이다.
중국사람의 깊은 생각엔 차가운 것이 들어가면 병이 난다고 기저에 깔려있다.
명나라의 기록에 따르면 한 대신이 일찍 죽기 위해 아침마다 찬물을 마셨다는 기록도 있다.
중국의 전통의학에 따르면 찬물은 만병의 근원이다.
중의학에서는 찬물이 인간의 몸에 들어오면 위장의 기운을 상하게 하여 위장장애를 가져온다고 믿고 있으며
내장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감기가 걸리고 변비가 생기며 근육수축에 따른 피로와 통증을 가져온다고 가르치고 있다.
반면 따듯한 물은 만병통치약이라고 가르치며
따듯한 물이 우리 몸에 들어오면 혈액순환과 소화를 돕고 해독작용과 노화 방지를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래서 중국에선 몸이 아플 때, 기분이 안 좋을 때, 뜨거운 물을 많이 마시라고 가르치고 있다
그렇다면 중국은 언제부터 따듯한 물을 먹기 시작했을까?
중국기록에 따르면 기원전 2세기 한나라 때부터 따듯한 물을 마시기 시작했다고 알려졌다.
한나라의 왕실과 고위관리들이 뜨거운 물에 이용해 차를 만들어 마시기 시작했다.
하지만 일반사람들에게 차는 물론 따듯한 물조차 사치였다
전통의학으로 따듯한 물이 건강에 좋은 것으로 알았지만
끓인 물이 귀해 일반사람들은 그냥 강물을 식수로 사용해 왔다.
하지만 중국의 대부분 강물은 석회질과 황토로 인해 수질이 좋지 못해 전염병이 돌았고
이에 따듯한 물이 몸에 좋다는 인식이 더욱 퍼지게 되었다.
본격적으로 중국인들이 일상적으로 따듯한 물을 마시게 되는 계기는 19세기말에 들어서다.
당시 중국은 태평천국의 난이 일어나면서 곳곳이 사실상 전쟁터였고
이를 피해 비교적 안전한 곳이 상하이로 사람들이 몰려들 거 시작했다.
하지만 사람들이 몰렸지만 생활환경은 열악해 콜레라가 퍼지기 시작했고
기록에 따르면 하루에 삼천 명 이상이 죽어나가는 일도 생겼다.
콜레라는 전염속 도까 빨라 상하이 전체에 퍼지고 결국 중국 수도인 북경까지 퍼져 사망자가 속출했다.
이렇게 중국 전역에 콜레라가 퍼지며 사망자가 속출하는 가운데
중국남부의 광둥 성 일대에서는 콜레라 환자가 전혀 나오지 않은 것을 발견하게 된다.
이를 조사하던 사람들이 알아낸 것은 중국남부의 사람들은 물을 끓여 마시는 문화가 있다는 점이었다.
중국남부 광둥 성에는 비교적 부유한 지역이라 물을 끓여 마실정도의 땔감이 있었다.
이러한 소식은 중국 전역으로 빠르게 퍼져 나가면서 물을 끓여마시는 것이
콜레라 최대 예방이라고 생각하게 되었고
중국 전통의학과 결합되어 중국인들의 머릿속에 뜨거운 물은 만병통치약이라는 생각이 굳어졌다.
여기에 1934년 당시 장개석의 국민당 정부는 국가정책으로 신생활 운동을 전개했다는데
교통, 법규, 복장, 식습관, 위생 등의 95개 행동 규칙을 제정해 반포했는데
이 규칙가운데 물을 끓여마시기가 위생부문에서 강조되면서 중국인들의 생활습관으로 굳어졌다.
이후 중국을 장악한 공산당의 모택동 역시 생수 대신 따듯한 물을 마셔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애국건강운동을 벌였는데 "아이들은 하루 세 번 끓인 물을 마시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라는 구호까지 외치게 하며 보온병을 지급하기도 했다.
뜨거운 물을 마시는 건 결국 환경 때문
중국뿐 아니라 인도와 아랍국가들 역시 찬물은 건강에 좋지 않다는 믿음을 갖고 있다.
인도의 전통의학에 따르면 찬물을 마시면 몸이 물에 온도를 높이기 위해 몸의 균형이 깨지게 되므로
미지근한 물을 자주 마셔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인도 남부로 갈수록 더 뚜렷하다. 남부로 갈수록 날씨가 더 더운데
더운 날씨일수록 더욱 뜨거운 물을 마신다.
인도뿐 아니라 오랫동안 인도의 영향력 아래에 있었던 스리랑카 네팔도 비슷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아랍국가들 역시 불은 불로 다스린다는 우리나라의 이열치열과 비슷한 개념을 가지고 있다.
사막의 뜨거운 열기를 뜨거운 차를 마심으로써 땀을 내 몸에서 화기를 밖으로 빼난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이외에도 베트남, 말레이시아, 태국, 미얀마, 몰디브, 아프가니스탄 의 더운 나라들은 찬물대신 따듯한 물을 마신다.
찬물과 따듯한 물 은 결국 환경 때문이다.
물을 끓여 따듯하게 마시는 나라들은 대부분은 수질이 좋지 못하다.
날씨가 더운 나라들은 그 날씨 때문에 쉽게 모든 게 부패하는데 때문에 물역시도 부패하기 쉽다.
그렇기에 물을 끓여 물에 있는 세균과 부패한 것을 제거하고 마시는 게 생존에 유리하다.
그에 반에 차가운 물을 마시는 나라는 수질이 좋다는 공통점이 있다.
우리나라는 전국 어디에서 땅을 파서 물을 마셔도 몸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이러한 나라는 전 세계적으로 몇 곳이 없다.
대한민국, 일본, 일부 북유럽, 뉴질랜드 캐나다 정도에서만 가능한 일이다.
이런 나라들은 물이 차갑거나 뜨거운 것 상관없이 마셔도 건강에 문제가 없으니
물을 끓일 불편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냥 마시는 것이다.
결국 뜨거운 물을 마시는 문화는 주어진 환경에서 건강을 위해 선택한 것이다.
이제 세상이 변하고 있다
시대와 세대가 변하고 과학이 발전하면서 나라마다 차가운 물과 따듯한 물의 선호도 바뀌고 있다.
찬물을 주로 마시던 유럽과 미국에서는 건강을 위해 탄산음료 대신 따듯한 차를 마시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으며,
반면 따듯한 물을 마시던 중국과 베트남 태국 청년들 사이에서는 따듯한 차 대신 얼음을 가득한 컵에
탄산음료와 맥주를 마시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다.
1990년대 경제 자유화를 시작한 중국에는 유럽, 미국의 식생활 문화가 들어오면서 맥주, 커피, 찬물에 대한
거부감이 사라지고 청년들을 중심으로 이전세대와 달리 차가운 맥주와 생수를 마시고 있다.
지금 중국이 세계최대 생수시장으로 부각된 것이 이를 반증한다.
이제 커다란 보온병을 들고 다니면서 따듯한 차를 마시는 사람은 구시대의 상징이 되어가고 있다.